2021년 5월 19일 수요일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의 숙명, 1Password의 변화를 바라보며

몇년 전 StuffIt을 추억하며 유틸리티 소프트웨어에 대한 글을 적었지 않나 싶었다. Agilebit의 1Password는 제품 출시부터 거의 10년 정도 사용해 온 암호관리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다. 지금이야 왠만한 웹 브라우저에 웹 사이트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었지만, 당시 인터넷 웹 서비스 사용이 점점 증가하면서 여러 사이트의 계정을 관리한다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이었다. 하나의 암호를 여러 웹 사이트에 사용하면 별 문제가 없지만, 의외로 각 웹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계정 이름이나 암호의 규칙이 달랐다. 사용자 이름은 몇 자 이상 혹은 몇 자 이내, 암호는 몇 자 이상에 숫자나 특수 문자를 포함해야 하는 등 여러 조건들이었다. 더욱이 특정 웹 사이트들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암호를 변경하도록 권장했고, 국내 몇몇 주요 서비스는 아예 강제로 변경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식이다보니 각 사이트 마다 암호가 다른 것은 일반적 사항이었고, 바꾼 암호를 기억하지 못하다가 또 새로 만드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 상황에서 1Password는 웹 사이트에 저장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자동으로 기억하고 자동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물론 이런 기능이 먹히지 않는 몇몇 사이트도 있었다. 내 기억에 끝까지 자동 로그인이 되지 않았던 곳은 옥션 사이트가 아닌가 싶다. 그래도 이런 사이트는 몇 개 되지 않았으니 1Password의 사용에 따른 가치는 충분히 돈 값을 했다고 본다.

1Password는 그외 여러 개인 신상이나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그리고 주요 정보들을 하나의 앱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여러모로 일상을 편하게 만들었다. 그러다가 iOS 버전이 나왔고 아이폰에서도 1Password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역시 인터페이스의 차이로 인해 Mac 버전 만큼의 편의성을 느낄 수는 없었다.

kXDbcVH.png

Mac 환경에서 1Password를 잘 사용하다가 최근 웹 브라우저의 암호 관리 기능이 등장하게 되면서, 그 기능들이 종종 1Password와 충돌되거나 혼란을 일으키기까지 한다. 그리고 실제 암호 관리 기능으로만 본다면 사파리나 크롬 등의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정도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충분히 만족할만하는 것이다. 1Password이 제공해왔던 효용성의 가장 큰 부분이 사라지게 되었다.

더욱이 그러한 사이 1Password는 구독형 서비스로 완전히 전환했고, 그에 따른 기술적 안정성이나 서비스가 개선되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용적 부담에 대한 추가적인 효용성을 기대하기 어렵지 않나 싶다. 특히 웹 사이트 관련 암호 관리 기능에 추가된 보안 관리 사안들이 너무 일반적 평가를 따르지 않아 싶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 역시 마찬가지이지 않나 싶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잘 사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암호 관리 수준을 개선할 수 있겠지만, 과연 그럴 정도의 수고를 보일 사용자가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그리고 웹 사이트 암호 관리 외 다른 기능으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 기능이 기술적으로는 개선되었을 지 몰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기능적 부분은 오히려 불편하게 된 것 아닌가 싶다. 특히 프로그램의 이름에 따라 아이콘이 자동으로 지정되는 재미있는 기능이 이전 버전이 그리울 정도로 현재 버전에서는 적용률이 매우 저조하다.

한때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는 항상 설래지 않았나 싶다. 어떤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개선되었나 하는 기대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업데이트는 항상 불안하다. 업데이트 이후 제대로 작동할 지 심지어는 이번 업데이트로 인해 유료 버전으로 전환할 지를 고민해야 하는 지 등이다. 1Password 역시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 지 매우 궁금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형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추억의 가치

누구나 내 책상 가운데 하나 위에 놓여진 커다랗고 시끄러운 금속 상자와 그 옆 낯선 화면을 보면서 과연 이게 뭔지 의아스러워 한다. 그리고 그 옆에 커다랗게 그리고 화려하게 새겨진 HP 로고를 보고 나면, 별나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