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애플 실리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애플 실리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9월 4일 토요일

맥을 맥 답게 사용한다는 것은.. 나름 고생 ?

애플이 Power Macintosh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CPU를 PowerPC에서 X86으로 전환한 Mac을 출시하고, 그리고 다시 ARM 기반의 독자적인 M1 기반 Apple Silicon을 탑재한 Mac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68K나 PowePC 시절과는 성능 개선을 체감하고 또한 직간접적 Windows 운용의 효용성으로 새로운 Mac 사용자가 크게 증가한다. 물론 그 증가가 엄청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더 이상 Mac을-PC/Windows 진영에서 볼때-소수 혹은 일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컴퓨터로 치부하기에는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오랜 맥 사용자로서 최근의 Mac이 CPU를 바꿀 때마다 느껴지는 전반적 성능 향상의 이미지는 ‘빠르다’였다. 사실이다. 아직 M1 기반 Mac을 사용해 보질 않아 모르겠지만, PowerPC 기반으로 그리고 X86으로 바뀔 때의 체감 정도 수준이라도 충분히 새로운 Mac을 선택할만한다고 본다. 현재 내 Mac Mini 2018이 별 탈없이 일을 잘해주고 있기 때문에 불만은 없지만, 새로운 Mac에 눈이 가는 건 사실이다.

돌이켜 볼 때, Mac이 68K든 PowerPC든 느린 CPU를 사용한 적은 없었다. 그러나 실제 Mac은-상대적으로-매우 느렸다.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설계의 문제인지 운영체제의 문제인지 혹은 어쩔 수 없이 적은 사용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인지 명확하게 규정할 수는 없다. 특히 같은 회사에서 발매한 소프트웨어 가운데 Mac 버전이 느린 것이 많았다. Mac 환경에서 최적화 되도록 구성되거나 기능이 제대로 컴파일이 되지 않은 것이 아닌가 싶다. 시장이 큰 PC/Windows 버전을 출시한 후 Mac 버전에서 손해 보지 않을만하다고 판단되면, 원래 소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Mac에서는 일단 구동 가능한 상태로 출시하고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고 최적화를 진행하는 방식이라 본다. 그렇다면 아무리 빠른 CPU를 탑재하더라도 몇몇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Mac 기반 어플리케이션은 느릴 수 밖에 없었다고 본다.

Mac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CPU를 사용하는 UNIX 워크스테이션에서는 전혀 다른 성능을 보였다는 점에서-비록 운영체제 차이는 분명하지만-이런 상상은 그저 상상이라고만 생각되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Mac을 선택한다는 것은 사실상 속도는 포기하고 어쩔 수 없이 Mac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운용할 수 밖에 없을때 뿐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Mac 전용 어플리케이션도 결국에는 PC/Windows 버전이 등장하기 때문에 다음 업그레이드 시기에는 Mac을 버리는 일에 전혀 부담이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UNIX 환경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 가격 문제였다.

업무적 측면의 UNIX 워크스테이션 사용자나 PC/Windows 사용자가 Mac에 눈길을 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좋고 나쁘고의 문제 이전에 기대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Mac 버전 어플리케이션 덕분이었다.

애플 실리콘 M1 CPU를 탑재한 Mac 성능에 대해 극찬이다. 그리고 다음 모델 기반으로한 제품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맥북에어나 맥미니가 아닌 아이맥은 물론 고급형 맥북프로나 맥프로에 적용할 수 있는 애플 실리콘의 등장은 시간 문제일 것이다.

그렇더라도 대부분의 PC/Windows 사용자는 쉽게 Mac으로 전환할 일은 없을 것이다. 원하는 바가 서로 다르기 떄문이지 않을까 싶다.

다만 아직까지 Mac에서 CATIA도, Creo, 그리고 더 이상 NX 등의 메이저 CAD 플랫폼은 구동될 수 없다는 것이 아쉽다. CAE 플랫폼은 말할 것도 없다. 한때 간을 보던 몇몇 어플리케이션도 결국 이런저런 이유로 발을 뺐다.

2020년 9월 3일 목요일

애플 실리콘 맥, 원도우즈 따위 이제 알게뭐람 ?

애플 실리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새로운 맥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화는 당연히 X86에서 애플 실리콘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지만, 그와 함께 더 이상 부트캠프 다시말해 윈도우즈를 네이티브로 지원하지 않는다는 다소 숨은 듯한 사실이다. 부트캠프를 별로 사용하지 않는 입장에서야 이런 변화는 사소한 사건에 지나지 않다고 볼 수 있지만, 지금도 포털 사이트에 올라오는 맥 질문의 거의 절반은 부트캠프의 설치나 운용에 관한 사안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아직 대한민국에서 윈도우즈 환경은 절대적이다. 물론 기능적으로 맥에서 원도우즈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없지는 않지만 불편하고 비싸다. 그리고 대안이 없는 경우도 많다. 물론 대안이 없는 경우라면 맥을 구입하는 것은 현명한 행동이 아니다. 그럼에도 맥을 구입하는 이른바 신생 사용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는 것이 분명한 듯 하다.

이들에게 맥은 맥이 아니라 그저 애플 마크가 붙은 원도우즈를 설치해야 하는 수고를 가진 좀 이상한 컴퓨터일 뿐이다. 그러니 맥이 아닌 원도우즈 머신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우선하고, 그에 비례하여 원도우즈 설치나 설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로 고민에 빠지고 있다. 그 덕에 부트캠프의 사용 비중이 거의 없는 입장에서 이와 관련한 질문을 받으면 대응하기가 정말 곤란하다.

새로운 맥이 등장하면 최소한 부트캠프와 관련한 문제와 질문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하지만 부트캠프 덕에 맥을 선택했던 많은 사용자들과 또한 새로운 사용자들은 과연 어떻게 될까? 최소한 대한민국에서의 맥 구입은 분명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 분명하지 않나 싶다. 페러렐즈나 퓨전 등과 같은 가상화 플랫폼을 사용하면 되지 않느냐고 하겠지만, 부트캠프를 선택하고 설치나 설정에 많은 문제를 겪은 이들이 가상화 플랫폼의 이해와 운용이 더 나을 것이라 기대하긴 어렵다.

맥 사용 환경에 원도우즈에 비해 많이 개선되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 오토데스크의 AutoCAD 등 몇몇 일반적 사용이 많은 프로그램은 완벽하게 원도우즈 버전을 대체하진 못하고 있다. 물론 일상적 활용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부트캠프를 사용해야 하는 대부분은 사용자들이 사소한 차이도 큰 불편함으로 찾아올 수 있다.

또한 페러렐즈나 VMWARE에 애플 실리콘 기반 맥을 얼마나 잘 지원해줄 지는 의문이다. 맥이든 PC든 어차피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다. 리눅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리눅스는 ARM 기반에서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구동에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맥에서 리눅스 구동을 위한 가상화 플랫폼을 비용을 주고 구입하여 운용하는 비중은 원도우즈 운용을 원하는 사용자의 극히 일부분일 것이다. 결국 가상화 플랫폼에서 원도우즈 지원이 관건이다.

ZrGaTlp.png

페러렐즈는 애플 실리콘 기반 맥이 아닌 새로운 운영체제 빅 서를 지원하는 다음 버전에 상당한 연구개발 비용을 투자했다고 한다. 그 내용에 애플 실리콘 환경에서 원도우즈 지원은 포함되어 있는 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애플이 페러렐즈를 비롯한 가상화 플랫폼 개발 업체에 여러 지원을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가상화 플랫폼을 위한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의 작은 부분이라고 바꾸거나 할 이유는 없다. 애플 입장에서는 이들이 주요한 지원군이긴 하지만 절대적 존재는 아니다. 어쩌면 애플 실리콘 기반의 새로운 맥과 빅 서 운영체제를 지원하는 가상화 플랫폼은 왠지 버추얼박스가 제일 먼저이지 않을까 싶다.

애플이 X86에서 애플 실리콘으로 이전하면서 부트캠프를 포기하는 것은 이미 애플 입장에서도 부트캠프의 수명이 다했다는 자신감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제 왠만한 일반 업무용 어플리케이션 가운데 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 남은 부분은 높은 수준은 3D 그래픽스나 엔지니어링 분야 등과 같이 애플의 영역이 아니었던 전문 영역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피스 패키지를 맥 앱스토어에 런칭한 것을 보면 애플 실리콘 기반 맥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지와 지원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정도라면 일반 어플리케이션 수준에서는 보다 자연스럽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가상화 플랫폼들의 운용은 어떻게 될 지 모르겠다. 빅 서 지원을 위해 이미 수많은 비용을 투자 했지만, 애플 실리콘 기반에서의 빅 서 지원은 또 다른 일이 될 것이 분명하다.

애플의 하드웨어 그리고 소프트웨어 관련하여 수 많은 천재적 써드파티 개발사들이 애플의 급작스런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사라졌다. 페러렐즈나 퓨전 역시 그런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하지만 그에 비해 아직도 여전히 맥 사용자들의 절대적 수는 원도우즈 PC에 비해 소소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모험이 분명하다.

구형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추억의 가치

누구나 내 책상 가운데 하나 위에 놓여진 커다랗고 시끄러운 금속 상자와 그 옆 낯선 화면을 보면서 과연 이게 뭔지 의아스러워 한다. 그리고 그 옆에 커다랗게 그리고 화려하게 새겨진 HP 로고를 보고 나면, 별나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