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월 3일 목요일

iCloud, 나의 사진 스트림 서비스

아이폰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순간부터, 아이폰은 물론 스마트 폰은 디지털 카메라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고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는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 폰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폰은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라는 점에서 전혀 다른 가치를 가진 장치가 되었다. 사진을 찍자마자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기기로 전전송되는 이른바 동기화 기능을 지원함에 따라 사진의 활용성을 크게 넓히는 단초가 되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아이폰 정확하게 말하지만 2011년 iOS 5와 함께 시작된 ‘사진 스트림’(Photo Stream) 기능은 애플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iCloud에 기반하여 Mac 컴퓨터 시스템과 iOS 기반 스마트 기기 간에 아이폰에서 찍은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 마찬가지로 Mac에서 생성되어 iPhoto나 Photos에 저장된 사진 역시 같은 방법으로 연결된 아이폰을 비롯한 다른 기기와 동기화된다. 이를 통하여 애플은 다른 경쟁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에 비해 자신들의 제품간 결합력을 보다 단단히 묶을 수 있게 되었다.

zDyt12n.jpg

사진 스트림 기능이 작동하는 애플의 모든 제품들은 아이폰에서 찍은 사진을-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면-거의 실시간 수준으로 동기화함으로써 공유할 수 있게 된다. Mac OS X를 사용하는 Mac에서는 iPhoto 혹은 Photos 어플리케이션에서 그리고 iOS를 사용하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그리고 아이팟에서도 Photo 앱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자신이 아닌 가족이나 다른 친구와의 사진 공유를 위한 기능도 또 별도로 제공된다.

기능적으로 보자면 아이폰의 카메라로 사진을 찍게 되면 먼저 iOS 카메라 앱의 Camera Roll에 저장되면서 동시에 iCloud 서비스를 통하여 업로드 되어 연결된 모든 애플 기기의 ‘사진 스트림 앨범’(Windows의 경우 Pictures 폴더)에 저장된다. 더불어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도 iCloud 지원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동참이 가능하다.

사진 스트림은 하나의 애플 ID에서 제공되는5GB 용량의 iCloud 기본 공간 용량과 상관없이 최대 1,000장을 무제한 용량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물론 모든 애플 제품 사용자게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를 통하여 가져오기한 대용량의 사진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사진을 최대 1,000장까지 보관한다는 제한은 아이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저장 공간을 고려한 제한이기 때문에, Mac을 사용한다면 iPhoto나 Photos의 사진 스트림 앨범에 동기화된 사진을 수량 제한 없이 저장이 가능하다. 물론 그 가운데 최근 1,000장 만이 사진 스트림 기능을 사용하는 아이폰과 아이패드와 함께 유지된다.

이런 사진 스트림 서비스의 유일한 단점은 업로드된 하나의 사진은 iCloud 서버에 최대 30일 동안만 저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업로드된 사진은 30일 후 삭제되기 전 로컬 시스템으로 다운로드해야만 한다.

다행스러운 점은 Mac OS X의 iPhoto나 Photos가 업데이트되면서 사진 스트림 앨범에 업로드 되어 동기화된 사진이 자동화으로 iPhotosk Photos의 사진 보관함에 복사가 되기 때문에 30일 후 자동 삭제에 대해 염려할 필요는 없다. 물론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의 사진 스트림 앨범에서는 사라지기 때문에 동기화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본 측면에서의 기능적 의미는 상실된다.

간혹 모든 것이 정상임에도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찍은 사진이 사진 스트림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대개 배터리 충전량이 20% 이하인 경우 일시적으로 사진 스트림 기능이 중단되도록 되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형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추억의 가치

누구나 내 책상 가운데 하나 위에 놓여진 커다랗고 시끄러운 금속 상자와 그 옆 낯선 화면을 보면서 과연 이게 뭔지 의아스러워 한다. 그리고 그 옆에 커다랗게 그리고 화려하게 새겨진 HP 로고를 보고 나면, 별나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