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9월 24일 화요일

예상하지 못한 데스크탑... 델 Optiplex 7070 Ultra

Optiplex 7070 Ultra, 델의 비즈니스 데스크탑 라인의 새로운 제품이다. 정말 누구도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제품 설계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하겠지만, 새로운 제품으로서 자랑하고 광고할만한 지는 의아스럽다. 한 마디로 델 Optipelx 7070 Ultra를 표현하자면 모니터 분리형 iMac(이하 아이맥)이라고 해야 하나 싶다. 물론 아이맥은 모니터 그 자체가 본체라는 점에서 7070 Ultra와는 차별된다. 사실 사용자 입장에서 아이맥의 가장 큰 부담은 모니터 자체가 본체라는 점인데, 부품 업그레이드나 수리에 상당한 노하우가 필요할 뿐더러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7070 Ultra는 모니터를 제외한 본체가 이른바 모니터 스탠드로 바뀌게 되었다는 점에서 아이맥에서의 이런 부담은 없다. 오히려 업그레이드 기능의 측면에서는 아이맥 운용의 단점을 해소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런 다소 우스꽝스러운 모습은 어쩔 수 없다. 물론 모니터 스탠드에 기존 데스크탑 본체의 기능을 몰아 넣었다는 것은 충분히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노트북에서 모니터를 빼고 그리고 배터리를 빼고 나서, 노트북을 형태를 좁고 길게 만들었다는 점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F5pK3Zz.png

7bUa7fk.png

Eoo2NeU.png

우리의 책상 공간을 차지하는 주범은 이른바 PC가 등장한 이래로 모니터와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였다. 물론 가장 큰 덩치를 차지한 것은 본체였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본체의 크기나 두께는 점점 줄어 들었지만 모니터는 점점 커져갔다. 다행히 LCD, LED 기술이 적용되면서 무게와 두께는 비교할 수 없는 정도로 가볍고 얇아 졌지만 크기는 더욱 관리하기 힘들 정도로 커져만 가고 있다. 두께가 얇아진 만큼 책상 위에 멀찍이 설치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크게 줄어들기는 했지만, 어차피 손이 닿는 위치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그리고 그 앞에는 아직도 널직한 크기의 키보드와 작지만 또한 널직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마우스가 차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거의 지난 40년간 컴퓨터가 놓여진 책상 위의 상황은 변한 것이 없다.

유일한 탈출구는 랩탑(Laptop), 노트북 컴퓨터였다. 노트북 컴퓨터를 통하여 책상 혹은 사무실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노트북이 책상 위로 돌아오게 되면 대부분의 경우 키보드, 마우스 그리고 모니터가 연결되기도 한다. 아예 노트북을-언제 이동할 지 모른다는 측면에서 구입한 이유가 있기는 하지만-데스크탑 컴퓨터처럼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고 보면 결국 곧 다가올 미래의 데스크탑 환경은 iPad에 키보드나 연결된 형식이 일반적일지도 모르겠다. 나 역시 처음에는 iPad와 같은 스마트 태블릿 PC의 기능과 활용성에 회의적이었지만, 이제는 PC 수준에 근접했거나 이미 성능에서도 앞서기도 하고 있다. 특히 처음부터 iPad 등으로 기존 PC를 대체하여 사용했다면 그 운용성과 생산성은 전통적인 컴퓨터 사용 습관에 젖은 이들의 상상을 초월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애플은 이미 iPad로 스마트 태블릿 시장을 선도하고 있지만, HP나 Dell 혹은 Lenovo 등은 관련한 시장에서 기존 브랜드 네임에 걸맞는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제 본격전인 데스크탑과 스마트 태블릿의 경쟁이 다시 불붙지 않을까 싶은데, 이러한 상황에서 Optipelx 7070 Ultra의 보여주는 모습은 역시나 의아스럽다.

2019년 9월 2일 월요일

올드맥을 위한 선택, Mac OS vs. Mac OS X

현재 올드맥이라하면 아마도 애플이 X86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전환하기 이전의 PowerPC를 탑재한 맥 모델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좀더 신세대라면 이른바 i-시리즈 마이크로프로세서이전의 X86 탑재 모델을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내게 올드맥이라면 당연히 680X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한 68K 맥을 우선으로 생각한다.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든 대개 PowerPC 그리고 68K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맥이 올드맥이라는 사실은 확실하다.

이렇듯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구분은 명확한 것에 비해 운영체제 측면에서는 다소 구분짓기가 애매할 수도 있다. Mac OS X가 출시될 즈음 애플은 PowerPC 기반의 PowerMac이었다. 저가 모델은 iMac으로 분류되었고 비즈니스 모델은 PowerMac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애플이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른바 Core 시리즈로 이전하게 되면서 Mac OS X는 PowerPC와 X86를 모두 지원하는 운영체제로서 10.5 Leopard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다보니 어차피 올드맥으로서 PowerMac의 운영체제에 대한 선택이 고민될 수 있다. Mac OS X 10.5(혹은 10.4) 그리고 클래식 맥 OS라 불리는 Mac OS 9.X 가운데 어느 것이 나의 올드맥을 위한 선택일지. 선택의 기준으로 명확하다고 볼 수 있는데, 하드웨어 측면에서 설치 가능한 최종 버전을 원할하게 운용할 수 있는 상태로 업그레이드된 경우라면 Mac OS X를 설치해서 경험해 보는 것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시스템 사양이 일반적 기준이라면-Mac OS 9.X 혹은 Mac OS 8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것은 한번의 경험이 아닌 일상적으로 사용해보겠다는 결심을 위한 것이다.

xKndcRG.png

사실 일반적 사양의 PowerMac G3 모델에서는 Mac OS X 10.4 Tiger를 제공로 구동하기가 만만치 않다. CPU를 업그레이드할 수 없다면 메모리를 최대한 확장하거나 드라이브를 SCSI 등으로 교체하는 조치로 겨우 쓸만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멀티태스킹 환경은 기대하기로 더욱 힘들고, 접속이 되더라도 인터넷 웹 서핑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반면 Mac OS 9를 설치한다면 그야말로 날아다니는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물론 Mac OS X에서 Mac OS 9.X 환경을 에물레이션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의미가 없다.

그럼에도 Mac OS X를 설치하고자 하는 것은 화면 구성과 인터페이스가 상대적으로 현대적이라는 측면 그리고 운영체제에 탑재된 기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경우든 현실의 인터넷 사용 환경에 적응할 수는 없다. Mac OS X 10.4 혹은 구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오늘날 요구하는 보안 수준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나미 일부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수신용으로 사용할 수는 없지만 이-메일 전송은 극히 힘들다. 결국 힘겹게 설치한 이후 현실적 효용성이 없는 점에 고민은 계속 되게 된다.

그리고 운용할 수 있는 최상위의 운영체제를 그나마 원할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입수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것인 메모리, RAM 확장이긴 하지만 그 비용을 현대적 PC 업그레이드에 투자하면서 성능면에서는 비교할 수 없는 효용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를 비용이 들더라도 확장이 가능하지만 CPU와 그래픽스 카드 그리고 SATA 카드를 확보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그나마 SATA 카드는 호환이 가능한 몇몇 제품이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하지만, 특정 고급 브랜드의 제품을 제외하고는 일일이 호환성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운이 좋지 않으면 돈과 시간을 모두 낭비할 수도 있다. 운좋게 SCSI 카드를 입수했다면 조금더 상황이 나을 수도 있겠지만 100GB 전후의 대용량 SCSI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비용으로 볼때 망설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니 CPU와 그래픽스 카드의 비용은 상상을 초월할 수 있다. 아마 PowerMac G3나 G4 수준이라면 본체 가격을 훌쩍 넘을 것이다. 직접 구입하는 것보다 간혹 폐기된 제품에서 부품으로 확보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더 나을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알고 있으면서도 나를 포함한 여러 올드맥 사용자들은 구형 PowerMac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기회를 노리고 더불어 그 기회를 잡을 지 말지를 고민한다. 수년 혹은 수십년에 걸친 맥, 애플 컴퓨터 사용자의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힘든-마치 의무감 같은-욕망이다.

다만 이러한 욕망이 맹목적인 경우를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특히 애플이나 잡스에 대한 경외감으로 자신이 경험해보지 못한 시절의 컴퓨터를 소유하는 것에 집착하는 젊은 친구들을 종종 본다. 그들에게 올드맥은 남들이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자신의 소유에 대한 만족감인 경우가 많았다.

사실 올드맥 혹은 그 이전의 클래식 컴퓨터에 대한 애정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그 제품을 오늘날 현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와 같은 수준으로 이용하고자 한다면-어플리케이션 활용성은 충분할 수 있지만-절대적 기능적인 측면에서 비교할 수 없다. 아무리 하드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최적화를 한다고 한들 제대로 할 수 있은 일은 없다. 그 자체가 의미가 있을 뿐이지 현실적 활용은 별개의 일이다.

구형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추억의 가치

누구나 내 책상 가운데 하나 위에 놓여진 커다랗고 시끄러운 금속 상자와 그 옆 낯선 화면을 보면서 과연 이게 뭔지 의아스러워 한다. 그리고 그 옆에 커다랗게 그리고 화려하게 새겨진 HP 로고를 보고 나면, 별나 컴퓨터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